Post IT Chores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Post IT Chores

메뉴 리스트

  • 부자마켓
  • 태그
  • 미디어로그
  • 지역로그
  • 글남겨주세요(방명록)
  • 새글쓰기
  • 또옹띵메뉴
  • 분류 전체보기 (383)
    • 조금 중요한듯(공지) (19)
    • 부자마켓 (24)
      • 의류부자재 활용 TIP (7)
      • 지금 패션 트랜드는 (2)
      • 의류부자재 종류 (12)
      • 부파사 서비스 기능소개 (2)
      • Working Diary (31)
      • Label Business (6)
      • 협력업체 (1)
      • 마케팅 (6)
      • 종달랩 사업현황 (66)
    • Computer Science (64)
      • 프로그래밍 TIP (14)
      • 인공지능 (8)
      • HTML5 (1)
      • 리눅스 (13)
      • Android&iOS (7)
      • WAS (1)
      • 자바스크립트 (0)
      • Spring (0)
      • Java (1)
      • JSP (1)
      • 머신 러닝 (4)
      • DB (1)
      • 클라우드-대용량 아키텍처 (5)
      • Front-End (VUE) (0)
      • Back-End(Node, Spring) (0)
    • 자료실 (32)
      • 논문자료실 (5)
      • 프로그램 자료실 (2)
      • Mesh Networks (9)
      • I-PIN (11)
      • Indoor GPS (0)
      • Marketing (1)
    • IT뉴스 (17)
    • 해우소 (73)
    • 알아두면 좋은 컴퓨터팁 (3)
    • 논평 비평 그리고 생각 (70)
    • 스마트 디바이스 (3)
    • 개발하는 사람들 (1)
    • 팀빌딩 (0)

검색 레이어

Post IT Chores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 글

  • 캘리걸을 아시나요?

    2009.04.10 by IT Playboy

  • 다음과 네이버의 뉴스서비스의 차이점

    2009.04.10 by IT Playboy

  • 블로거.. 세상의 여러가지 문제점들과 부딛힌다.

    2009.04.10 by IT Playboy

  • DLL 만들고 사용하는 방법 정리

    2009.04.10 by IT Playboy

  • 마이링커 서비스 분석

    2009.04.10 by IT Playboy

  • 기본에 충실하지 못하는 사람들은 항상 이유가 있기 마련이다.

    2009.04.10 by IT Playboy

  • 종달랩 다시 시작하기

    2009.04.10 by IT Playboy

캘리걸을 아시나요?

캘리걸... 집사람이랑 같이 보다가 웃었습니다.

해우소 2009. 4. 10. 22:40

다음과 네이버의 뉴스서비스의 차이점

국내 포털은 메인페이지에 항상 뉴스를 노출시키고 있다. 뉴스는 포털에 들어가는 이유인 동시에 사람들이 가장 많이 보는 정보이기도 하다. 이러한 뉴스정책에서 다음과 네이버는 상이한 정책을 펼치고 있다. 네이버는 뉴스케스트란 서비스로 사용자가 관심있는 뉴스제공자를 선택해서 해당 뉴스제공자가 보여주고 싶은 뉴스를 구독할 수 있도록 구성이 되었다. 이것은 그동안 뉴스의 편집권에 대한 네이버와 뉴스제공자들과의 지루한 싸움에서 결론낸 서비스 형태이다. 이러한 뉴스는 네이버 자체 페이지가 아닌 해당 뉴스페이지로의 이동을 유도한다. 기존에 네이버가 뉴스콘텐트를 갖고 와서 자체 페이지에 자체 광고와 같이 보여주던 것과는 다른 서비스 형태이다. 이것은 해당 뉴스제공자의 트래픽과 뉴스제공자 자체의 광고수익을 보전해주는 몇가..

논평 비평 그리고 생각 2009. 4. 10. 22:39

블로거.. 세상의 여러가지 문제점들과 부딛힌다.

blog 서비스는 예전의 사이월드와는 다른 관점으로 점점 사용자의 비중을 넓혀가는 서비스중의 하나이다. blog를 통해서 많은 사람들은 자신의 생각과 사상을 세상에 표현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받았고, 또한 blog를 통해서 다른 사람들과 소통하면서 더 많은 생각들을 취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blog서비스를 제공하는 provider들은 초창기의 수익성에 대한 문제점을 어느정도 덜고, 더 큰 회사로의 합병이나, 광고수익, 다른 서비스와의 연계등을 통해서 어느정도 안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End-User는 점점 진화해나가고 있으며, 그들이 만들어서 소비하는 Content들은 이제 단순한 자신의 일상적인 정보, 제가공에 의한 정보가 아니라 실질적이고, 고차원적인 정보들을 생산해 내고 있다. 그와 더불어 ..

논평 비평 그리고 생각 2009. 4. 10. 22:38

DLL 만들고 사용하는 방법 정리

dll을 만드는 방법 일반적으로 DLL 을 만드는 방법은 여러가지 책과 웹페이지에 많이 나와있다. 프로젝트를 만들때 정적 또는 동적 DLL을 선택한 다음에 __declspec(dllexport)를 이용해서 DLL을 선언하면 된다. 예제) extern "C" __declspec(dllexport) INT Factory(INT n) { if(n

Computer Science/프로그래밍 TIP 2009. 4. 10. 22:35

마이링커 서비스 분석

MyLinker 서비스에 대해서 인접한 서비스를 진행중에 있는 나로서는 MyLinker에 대해서 땔래야 땔수 없는 관계에 있다. MyLinker는 한때 Ad-ware냐 광고전달 매체냐 등등으로 악명을 상당히 떨쳤으며 지금도 여러 사이트에서 다음과 같은 동의창으로 사람들을 괴롭히면서 목숨을 연연하고 있는 형태이다. 일경(예전의 쇼테크)에서는 위 서비스에 대해서 web 2.0이라는 괘변을 통해서 아직도 서비스가 건재함을 표현하고 있으며 아직도 사용자가 300만이라는 약간 과장된(상당뻥) 마케팅 정보를 흘려주고 있다. 내가 일하는 것도 사실 위 MyLinker에 근간된 플랫폼에 RSS를 이용한 콘텐츠 전달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외부에서 보기에는 MyLinker가 아니냐는 의심의 눈초리를 보내고 있..

논평 비평 그리고 생각 2009. 4. 10. 22:34

기본에 충실하지 못하는 사람들은 항상 이유가 있기 마련이다.

교통질서를 지켜라. 어른을 공경하며 인사를 잘해라. 욕을 하지 마라. 욕을 하면 네 입만 더러워진다. 일을 할때는 목표를 정하고, 순서를 정하고, 하나 하나 진행해 나가라. 개발을 할 때는 문제를 분석해서 하나하나의 단위로 쪼갠 뒤 다시 같은 성격의 것들로 묶어서 함수화해서 기반을 준비하라. 후반부로 가니깐, 좀 전문적이 되었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이것들은 기본이라는 것이다. 어렸을 때 왜 기본기를 갖춰라, 기본에 충실해라, 교과서 위주로 공부해라(이건 좀..) 하고 여기 저기서 이야기가 나왔는지, 나이를 먹으니깐 와닫고 있다. 기본이 충실하면 실수가 적어지고, 일을 해낼 수 있는 확률이 높아진다. 하지만, 항상 상황이라는 것이 있고, 그 상황들은 그런 기본을 넘어서 즉흥적으로 일을 처리하게 만든다. ..

논평 비평 그리고 생각 2009. 4. 10. 22:28

종달랩 다시 시작하기

종달랩이 불미스러운 사건으로 폐지되었습니다. 하지만, 좀더 새롭게 리뉴얼해서 다시 재오픈했습니다. 종달랩은 티스토리, 네이버블로그, Blogger를 동시에 지원합니다. tistory 주소 : jdlab.tistory.com Blogger 주소 : jdlab.blogspot.com 네이버 주소 : blog.naver.com/jdlab (예정) 좋은 정보로 종달랩이 새로운 IT의 미래를 열어가겠습니다.

조금 중요한듯(공지) 2009. 4. 10. 22:21

추가 정보

반응형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45 46 47 48
다음
TISTORY
Post IT Chores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