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달랩 종다리 이야기

그동안 힘들었던 영어영문법 - 한일의 영문법 동영상으로 해결

해우소
반응형

요즘 시간이 많은 관계로 영어공부를 다시 시작하였다.

EBS에서 명강의로 소문이 났었던 "한일"선생의 영문법 동영상을 계속 보고 있는데, 영어공부로 힘들어했었던 사람만큼 가르키는 것도 그러한 자신의 경험에 기반해서 하기 때문인지 매우 쉽고 재미있게 강의를 한다.

영문법에 실패했거나, 다시 영어를 공부하고자 할 사람은 한일의 "한국에서 유일한 영문법"동영상이 도움을 줄 것이라고 믿어 의심치 않는다.

참고 문서는 뉴욕에서 의사하기  블로그에서 내려받은 "뉴욕 의사의 영어공부 제대로 하기"문서인데 이것도 꼭 읽어보면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반응형

현명한 돈벌기 - 시간과 노력과의 싸움

논평 비평 그리고 생각
반응형
현재 종달랩이 아직 수익모델을 제대로 잡지 못하고 표류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섣불리 돈벌기를 내 입장에서 논하기는 힘들지만, 다른 사람들이 어떻게 돈을 버는가를 살펴보면 생각보다 돈벌기기 어렵지 않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부자는 자신의 만족정도와 외부의 평가정도가 가져다 주는 형상이다. 돈이 많아도 만족을 못하면 가난하게 살것이고, 돈이 적어도 자신의 만족이 크다면 부자못지않게 행복하게 살 수 있다.

하지만, 지금은 누구누구를 떠나서 돈이 상당히 궁해지고, 노동력이 매우 싼가격에 판매가 되는 경제위기 시점이다. 이럴때 어떻게 돈을 벌 수 있을까?

1. 남들이 하지 않는 것에 도전하라. 남들이 다 하는 것들에는 이미 상당한 경쟁으로 인해서 노동력의 평가절하가 심각하다. 그런 경쟁부분은 피해야 한다.

2. 수익과 노동력의 상관관계를 통해서 너무 큰 욕심을 부리지 않아야 한다. 과욕은 어떠한 만족도 줄 수 없기 때문이다.

3. 시간을 통한 레버리지를 얻어야 한다. 혹자들은 대출을 통한 레버리지를 말하지만, 지금은 매우 특수한 상황의 저금리 시대이다. 곧 고금리가 오면 대출은 레버리지가 아니라 큰 장애물이 될 가능성이 크다. 시간과의 싸움이 중요하다.

4. 현재의 내 수익, 지출에 대한 분석 및 대응방법을 강구해야 한다. 특히, 기존의 자신의 수익모델이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면, 과감하게 불필요한 지출을 줄여야 한다. 물론 불편은 감수해야 한다. 그것마저 포기하지 못한다면 더 벌면 되지만, 지금은 벌기는 매우 힘든 시기이다.

5. 보수적이지만 투자가 뒤따라야 한다. 불경기라고 모든 것이 다 실패는 아니다. 성공할 수 있는, 적어도 은행금리보다는 뛰어난 투자처는 항상 도처에 있다. 그런 투자처를 볼 수 있는 눈을 키워서 아주 보수적으로 투자해야 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보수적...

6. 단기간은 주식도 해볼만하다. 주식이 매우 위험한 투자처이기는 하지만, 단기적으로는 주식은 어느정도 수익을 줄 수 있는 투자처이다. 단, 단기적이다. 장기적으로는 주식의 폭락이라는 큰 변수가 있을 수 있다.

7. 사는 지역을 바꾸는 것도 좋을 수 있다. 지방생활에서의 생활비와 서울, 수도권에서의 생활비는 천지차이일 수 있다. 서울을 벗어나는 것도 좋다.

8. 부동산... 능력이 되면 지금 사두는 것도 나쁘지는 않을 것 같다. 남들과 다르게 행동하는것.. 많은 사람들의 부동산 쇄락을 말한다면, 지금 살 여력이 된다면 매우 기분좋은 조건으로 살 수 있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물론, 시간과의 싸움이 기다리지만...

간단하면서도 참 실천하기 힘든것들을 나열하고 말았다. 하지만, 실제로 이렇게 하기는 매우 힘들다. 사는것이 녹녹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미래를 위해서 보수적이지만, 천천히 실천해나가면 시간이 도와줄 것이다.


반응형

앱스토어와 아이폰의 폐쇄적 서비스 마케팅의 성공요인은..

논평 비평 그리고 생각
반응형
보안, 해킹, 이통사의 과도한 수익모델과 같은 것은은 오픈된 컴퓨터 시장과 국내의 핸드폰 시장에서는 너무나도 당연한, 그래서 시장을 축소하게 되는 요인중에 하나다.

무리한 마케팅, 새로운것을 만들기 보다는 기존의 것에 안주, 소프트웨어의 공짜란 인식(또는 후려먹기식의 가격정책)등으로 인해서 국내의 소프트웨어시장은 관공서, SI위주로 돌아가고 있다.

애플의 앱스토어는 마치 국내의 소프트웨어 시장에 새로운 서비스 모델을 제공하는 것처럼 과장되었고, 삼성에서는 "바다"라는 환경을, 국내 이통사에서는 "XX스토어"와 같은 참 우려먹기식의 서비스를 경쟁적으로 하게 되었다.

이러한 서비스는 공짜, 수익배분, 개발자위주 등과 같은 캐캐먹은 단어들을 내세워서 마치 앱스토어와 경쟁하는 것과 같은 환상을 주고자 하지만, 현재 이쪽 분야에서 이러한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창의적인 인재들은 거의 다른 길을 찾았을 것이고(먹고 살아야 하니), 사용자들은 혹시나 해서 들어가 보지만 역시나 쓸만한 프로그램들은 거의 없거나, 있어도 갖고 즐길 수준은 않된다.

앱스토어는 애플이 비록 폐쇄적인 정책으로 개발자들이나 사용자들이 윈도우모바일처럼 OS를 거의 갖고 놀다 싶이 하도록 내버려 두지 않지만, 이것은 오히려 앱스토어의 성공적인 전략의 모습이다. 사용자들에게 불필요한 지식을 요구하지 않게 하며, 개발자들이 해킹과 같은 위험한 행위들을 제한함으로써 매우 쾌적한 환경에서 모바일 라이프를 즐길 수 있기 때문이다.

만일 아이폰이 앱스토어가 아닌 다른 경로로 프로그램들을 구입할 수 있고, 개발자들이 해킹과 같은 악의적 프로그램들을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하게 되면 아이폰은 매우 불안한 환경에서 작동해야 하며, 프로그램을 구하기도 쉽지 않게 되므로(바이너리 제품은 구입처가 많으면 더 구입하기 힘들다는게 내 이론) 지금처럼 성공하지 못했을 것이라 생각한다.

책임지고, 일정 수준이상의 환경을 제공할 자신이 있다면, 모바일 환경은 적절한 관리를 통해서 사용자들에게 더 낳은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PS : 아이폰에서는 아직 해킹에 대한 문제점이 발견되고 있지 않는데, 국내에서는 아이폰용 백신을 개발했다는 업체가 있고, 매우 중요한 것처럼 뉴스화되었다. 이 업체의 프로그램은 아직 앱스토어에 기재되지 않았다고 한다. 앱스토어처럼 체계화된 소프트웨어 시장에서는 해킹되는것 자체가 힘들다고 생각된다. 결국 공포감 조성을 통한 빤히 보이는 마케팅일 요소가 매우 크다. 이제 이런식의 뉴스와 매스컴을 통한 이런 낚시성 홍보는 인간적으로 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반응형

지붕뚫고 하이킥 - You Are My Girl

해우소
반응형


어제 지붕뚫고 하이킥을 본 사람들이라면 마지막 장면에서 갑자기 끝나 버리면 어떡하냐 했을 것 같다.

가난한 사람들중에서도 소녀 가장을 아주 애닯프게 표현한 것은 드라마도 아닌 시트콤의 신세경이였기에 신세경에게는 해피엔딩을 조금이라도 기대했었을 것인데..

마지막 회색의 정지된 장면을 볼때는 전에 쥬얼리정(정보석)이 "왕와와와~~~~"으로 장난치다가 중간에 끝난척했던 상황이 다시 연출된 것인가 하는 마음도 들었었다. 

끝났을 것이란 걸 머리는 아는데,
시계를 보니 끝날 시간인데,
타이틀이 다 지났는데도,

그 장면에서 좀 더 내용이 나오고, 신세경과 이지훈이 적어도 죽지만 않았으면 하는 바람에 너무 허탈했고, 띵하다고나 할까.. 너무 아쉬웠다.

슬픈 시트콤속에서 삶의 진솔함과 잔인함을 같이 느낀 하루였다.

PS : 아이들이랑 같이 보는데 어찌나 이것 저것 물어보던지.. 집중이 않되서 버럭 화까지 냈다는....
반응형

Windows Phone 7에서 Silverlight를 이용해서 Twitter application만드는 방법

Computer Science/프로그래밍 TIP
반응형
1. 먼저 Visual C++ 2010 RC를 설치해야 한다. 하지만 만일 아직 설치하지 않았다면 생략해도 된다. 2단계 과정에서 Visual C++ 2010 Express를 더 깔아주기 때문이다.
2. Windows Phone Developer Tools CTP를 다운받아서 설치해야 한다. 다운받는 파일은 작은데, 이파일이 설치되면서 웹에서 추가적으로 200MB이상을 더 다운받는다. 설치는 상당한 시간을 요구하였다. 참고로 테스트 PC는 AMD 트리플코어에 3GB램을 갖고 있었다.
3. 프로그램 만드는 예제는 다음으로..

샘플의 최종 결과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