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달랩 종다리 이야기

나는 블로그를 하면서 객관적인가? 아니다. 그래서 블로그를 한다.

논평 비평 그리고 생각
반응형
블로그를 하면서 아는 선배에게 이런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너는 너무 감성적으로 글을 쓰는 것 같아."

제가 글을 쓸 때는 객관적인 자료들을 구독하고 느낀 저의 생각을 씁니다. 다분히 주관적인 것입니다. 저의 생각과 사상이 글속에 포함되기 때문입니다.

세상에 객관적인 사실들은 널려 있습니다. 다양한 뉴스매체들이 그런 역활을 하고 일부 블로거들이 생산해내는 뉴스들도 그렇습니다.

저는 저의 블로그를 통해서 저의 생각을 거친 자료와 말들을 하고 싶습니다.

그래서 저는 매우 주관적인 사람입니다. 다만, 저의 이런 생각을 많은 사람들과 소통하고 싶어서 블로그를 합니다.

블로그 하면서 몇번 폐쇄도 당했습니다. 저의 생각을 쓰고, 제가 아는 정보들을 말하는데 그게 잘못되었다고 폐쇄를 당했을 때는 참... 기분이 좋지 않았습니다. 그것도 단지, 그 사실로 인해서 기분이 좋지 않은 사람들로 인해서...

글을 쓰는데 이제는 주제를 많이 축소했지만... 그래도 저의 생각들을 좀 더 쓸 생각입니다. 다만, 너무 지식이나 생각이 미천해서 욕만 먹지 않았으면...
반응형

삼성이 소프트웨어 시장에서 성공하기 힘든 이유

논평 비평 그리고 생각
반응형


위의 이용약관은 1억원의 상금이 걸린 TV용 앱스토어 어플리케이션 공모전의 약관입니다.

위 약관을 보시면, 삼성은 어플리케이션을 출품한 사람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고, 이에 대해서 어떠한 비용도, 권리도 주지 않겠다는 것입니다. 삼성의 SDK를 이용했으니깐...

공모전을 해서 많은 개발자, 기획자들의 아이디어만 쏙 빼먹겠다는 이야기입니다. 공모전에 사용된 SDK를 이용하는 것이 과연 개발자, 기획자들의 노력과 아이디어에 대한 권리마저 박탈당해야 하는 이유일까요?

삼성은 하드웨어를 잘 만듭니다. 아니.. 남들이 만들어 놓은 하드웨어를 좀더 잘 만들어 내는 기술을 갖고 있습니다. 삼성이 세계에 없는 첫번째 제품을 만들었다는 기억은 좀 희미합니다. 어쨌든, 삼성은 최고로 잘 만들어 내는 기술을 갖고 있습니다.

삼성은 소프트웨어도 어느정도 만들어 냅니다. 삼성은 다른 사람들이 만들어 놓은 것을 뺏거나, 유사하게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삼성이 세계에 없는 첫번째 소프트웨어를 만들었다는 기억 역시 좀 희미합니다. 그런데 삼성은 소프트웨어는 참 못만들어 냅니다. 아니.. 허접합니다. 하드웨어에 탑재되는 드라이버도 소프트웨어입니다만, 이것도 삼성이 처음부터 뚝딱만들어낸것은 거의 없을 것입니다.

소프트웨어에 대한 이러한 개념을 갖고 있는 삼성이기에 전에도 그랬고, 지금도 그랬고, 앞으로도 소프트웨어에서의 고전은 면치 못할 것입니다.

삼성이 바다를 만들고, 육성하고 있습니다. 아마, 삼성폰을 위한, 애플의 아이폰이 그랬던것처럼 하고 싶을 것입니다. 하지만, 애플이 그랬던것처럼 수익이나, 이윤을 개발자들과는 나누어주지 않을 것입니다. 전에도 그래본적없고, 현재도 그래본적 없고, 앞으로도 그럴 생각을 하지 않을 테니깐요. 왜냐하면, SDK도 주고, 플랫폼도 줬는데, 너희들이 뭘 한게 있다고.... 하는 자만의 생각을 갖고 있을테니까요.

참 안타깝네요.

예전에 이건희회장이 이런 이야기를 했다죠. 천재 한명이 수천명인가 수만명을 먹여 살린다고... 소프트웨어 시장은 하나의 군주가 군림해서 모두를 먹여 살리는 것이 아니라, 여럿의 개체들이 유기적으로 살아가는... 하나의 생명체임을 알아야 할 것입니다. 그런 생리를 모른다면, 한명의 군주가 수만명의 노예속에서 혼자(만) 행복해 하겠죠.
반응형

SNS를 구축하는데 필요한 OpenID정보

자료실
반응형


David Keener에 의해서 발표된 "Implementing OpenID for Your Social Networking Web Site"발표자료 입니다.

왜 SNS에 OpenID가 필요한지와 어떻게 그것을 적용할 수 있는지를 발표자료로 정리되어져 있습니다.

OpenID에 필요한 정보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The official OpenID web site.
- http://openid.net

Resources for OpenID.
- http://www.openidenabled.com

Good article on implementing OpenID.
- http://www.danwebb.net/2007/2/27/the-no-shit-guide-to-supporting-openid-in-your-applications

A case study for OpenID-enabling an app.
- http://www.plaxo.com/api/openid_recipe

A good blog entry on OpenID adoption.
- http://dev.aol.com/article/2007/openid_blog_part2

Excellent 7-minute OpenID screencast.
- http://leancode.com/openid-for-rails

8 OpenID resources for developers.
- http://www.rubyinside.com/7-openid-resources-for-railsdevelopers-418.html

An excellent book on OpenID, in PDF form:
- The OpenID Book, by Rafeeq Rehman
- www.openidbook.com/download/OpenIDBook-draft-15.pdf

A negative article about OpenID. I really disagree with much of it, but it’s certainly a good overview of OpenID criticisms.
- http://www.idcorner.org/?p=161

반응형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PHP를 이용한 OpenID구현방법  (0) 2010.03.29
모바일 웹 2.0의 진화및 향후 전망에 관한 자료  (0) 2010.03.29
웹표준가이드 2005  (0) 2010.03.29

PHP를 이용한 OpenID구현방법

자료실
반응형

2007년 9월 21일 Dev.Aol.Com에서 나온 "A Primer for OpenID with PHP"입니다.
OpenID에 대한 간단한 설명과 함께 간단한 구현방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반응형

모바일 웹 2.0의 진화및 향후 전망에 관한 자료

자료실
반응형

2009년 4월 전자통신동향분석 제 24권 제2호에 개제된 "모바일 웹 2.0 사업의 진화 및 향후 전망"자료입니다. "The Evolution and Future of Mobile Web 2.0 Business"

목차
1. 서론
2. 모바일 웹 2.0의 특징
3. 모바일 웹 2.0 사업 진화 현황
4. 요약 및 시사점

광고모델, 사업주체들간의 이합집산, 무선망개방, 풀브라우징, 수익성등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반응형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SNS를 구축하는데 필요한 OpenID정보  (0) 2010.03.29
PHP를 이용한 OpenID구현방법  (0) 2010.03.29
웹표준가이드 2005  (0) 2010.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