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달랩 종다리 이야기

본인확인 및 실명제의 득과 실

IT뉴스
반응형
아는 분들은 다 아시겠지만, 일정규모의 게시판을 갖추고 있는 웹서비스 제공자들은 글을 쓰거나, 댓글을 달 때 본인확인을 해야 합니다. 특히 쇼핑몰의 경우에는 더더욱 본인확인을 해야 합니다.

전에도 그랬고, 지금도 그렇지만, 딱뿌러지는 본인확인 방법이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대부분은 주민등록번호를 이용해서 본인확인을 하게 되고, 이렇게 사용되는 주민등록번호는 업체가 보관을 하게 된다고 합니다.(전자상거래법상 그래야 한답니다.)

개인정보 유출 촉발하는 본인확인제도 (2010/03/15 09:22 송고)

위 링크 기사를 보시면, 주민등록번호가 얼마나 쉽게 모아질 수 있고, 얼마나 쉽게 요구되어질 수 있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아이핀의 경우 본인확인을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지만, 아이핀은 아직도 요원하기만 합니다.

본인확인에 대해서는 호불호가 매우 다양합니다. 무턱대고 난무하는 불법 글들을 제어해야 하기는 한데, 그렇다고 명확한 방법이 없기 때문에 일단, 불이 난뒤에 대응하느니, 불이 않나게 하겠다는 방법으로 본인확인을 하고 있습니다.

인터넷은 언제나 정확한 정보가 유통되어야 하는 시장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인터넷은 이제 아고라와 같이 다양하고, 불명확한 정보들이 유통되고, 그 안에서 그러한 것들을 밝혀나가고 공유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성격상, 특성상 그러하기 때문입니다.

문화적인 특성에 의해서 그런지는 모르지만, 외국의 경우에는 본인확인을 요구하지 않습니다. 별로 크게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거니와 다양한 의견에 대한 장점을 단점보다 더 크게 보기 때문입니다.

국내에서 과도하게 인터넷상의 익명성의 문제를 강조하는데, 이러한 문제점부터 해결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와 더불어 인터넷상의 자정능력이 지금보더 좀더 강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냥.... 위 기사를 보다가 떠오른 잡다한 생각들입니다.


반응형

4~5월에 관심을 가져볼만한 스마트폰들

IT뉴스
반응형
여기에서 소개하는 스마트폰들이 현재 국내에 출시될지는 의문이지만, 일단은 각 모델별 특성을 살린 사진들을 모았습니다.

각각의 특성 및 국내 출시에 대한 내용들은 알아보는대로 글을 올리겠습니다.

사진만 봐도 그 웅장함에 군침이 흐릅니다. 물론 국내 몇몇제품들은 좀 안습입니다.

1. HTC EVO4G


2. HTC HD2


3. HTC Desire

4. Google Nexus one


5. Samsung(삼성) Galaxy 5


6. SonyEricsson X10


7. Nokia n900


8. Motorola Droid

9. LG GW990



반응형

오늘 트위터를 시작했습니다.

해우소
반응형
오늘 트위터를 시작했습니다.

http://twitter.com/crespersung

고민은.. 한글로 메시지를 작성할까? 영어로 메시지를 작성할까?

빌게이트를 따르기로 결정하기도 하고.. 아직은 재미를 모르겠네요.

아, 김연아도 따르기로 결정했다는...

신기한것은 개통하자마자 누군가가 저를 following했다는 것인데, 자세히 보니.. 아무래도 인터넷상에서 매춘하시는 분들 같더군요.. 일단은, 사람들도 없고 해서 냅뒀는데..

트위터를 하다 보면 이런 일들이 많아지겠죠? 새로운 경험에 대한 즐거움입니다.
반응형

내 자전거를 내 몸에 맞게 최적화하는 방법

해우소
반응형
http://www.competitivecyclist.com/za/CCY?PAGE=FIT_CALCULATOR_INTRO

위 사이트에서는 내 몸의 특징을 분석해서 나에게 맞도록 자전거의 크기 및 안장위치등에 대한 결과를 알려주는 서비스를 하고 있습니다.

자전거에 문외한인 저로서는 자전거에 올라가서 패달만 밟을 수 있으면 당연히 타는 것으로만 생각했는데, 자전거를 제대로 타기 위해서는 여러가지 장치들의 치수 및 위치를 제대로 잡아줘야 한다고 합니다.

이번 기회에 나에게 맞는 자전거의 정확한 정보를 확인해 보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블로그에서 정보를 얻으세요.

"보험과 자전거"
반응형

한국은 안드로이드마켓에서 게임을 구입하지 못한다.

논평 비평 그리고 생각
반응형
구글 “한국서 게임서비스 중단”

구글은 한국에서 요구하는 게임에 대한 사전등급에 대해서 동의를 하지 못하고 결국 문제가 되는 게임서비스를 차단하기로 했다고 합니다.

좀 불만인 것은 구글이 아무리 외국의 잘나가는 서비스 회사라고 해도 이렇게 사용자들의 불편함을 외면하고 서비스 자체를 막아버렸다는 것입니다. 아쉽죠..

하지만, 더 아쉬운 것은 자체의 불합리 내지는 기존의 관행이라는 이름으로 글로벌 서비스의 대세에 적절하게 대처하지 못해서 결국 이렇게 서비스를 접게 만들수 밖에 없는 한국의 관행입니다. 게임물등급위원회는 국내에서의 무소불위 권한이 외국의 다양하고 수많은 서비스 패턴에도 그대로 적용되기를 바라는 것인지..

아이폰이 소개되지 전에도 외국에서는 수 많은 스마트폰이 판매되고 있었습니다. KT의 아이폰의 도입과 그 이후 폭발적인 반응으로 국내에서도 스마트폰에 대한 내용이 점화되고 결국 외국산 스마트폰의 도입을 위해 국내의 기존 법들을 하나둘씩 수정해 나가고 있습니다. 제 개인적으로 국내의 스마트폰 도입은 적어도 2~3년 이상 외국에 비해서 늦어졌던 것입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스마트폰의 도입과 함께 소프트웨어 시장에 대한 변화가 감지되는 시점에 기존의 관행과 같은 법규에 대해서 사전적으로 대응해서 이렇게 전세계 사람들 다 받는 서비스 우리만 못받게 하지 말고 이에 대해서 전문가들의 조언을 통해서 법규를 합리적으로 바꿔야 할 것입니다.

반응형